본문 바로가기

리튬이온배터리5

[한국소비자원 X OECD 캠페인] 리튬이온 배터리 안전하게 쓰는 법! 24년 11월 25일,한국소비자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함께#배터리안전 글로벌 인식 개선 캠페인을12월 20일까지 진행한다고 합니다. 캠페인을 진행하는 배터리는스마트폰, 보조배터리, 노트북, 전동킥보드 등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들어가는리튬 이온 배터리입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자가방전이 일어나는 정도가 낮기 때문에많은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1차 전지인 리튬 전지는재사용이 불가능하였으나2차전지인 리튬 이온 배터리는충/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사용이 용이합니다. 이런 좋은 장점을 지니고 있어현시대의 전자기기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를흔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만, 배터리는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충격, 낙하, 파손 등의 .. 2024. 12. 10.
보조배터리도 재활용이 될까요? 배터리 폐기 방법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한 보조배터리는 높은 전압과 긴 수명 등의 장점을 지닌 현대 전자기기에서 핵심적인 에너지 공급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그러나 전기기술의 특성상 영구적인 사용은 어려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고 수명이 다하게 됩니다. 특히 2~3년 정도 사용한 보조배터리는 처음과는 다르게 성능이 급감하는 것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 성능이 떨어지거나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한 보조배터리는 어떤 식으로 폐기해야 할까요? ​ 보조배터리를 일반(재활용) 쓰레기에 버리면 안 되나요? ​ 보조배터리를 버릴 때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 안전하게 폐기해야 합니다. 보통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 쓰레기 또는 재활용 쓰레기로 버리게 될 시 쓰레기 매립지나 재활용 시설로 가게 되는.. 2024. 4. 9.
보조배터리의 용량과 사용시간 알아보기 보조 배터리의 용량과 사용시간 알아보기 보조 배터리를 구매하실 때, 실사용 용량과 사용시간이 궁금하셨죠? 보조배터리의 용량과 사용시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보조배터리는 5,000mAh, 10,000mAh, 20,000mAh 등 mAh(milli Amper hour)로 보조배터리 용량을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는 리튬이온배터리의 3.6~3.8v 내외의 공칭 전압을 가정하고 전류량으로 나타낸 배터리 용량으로 전압을 고려한 정확한 배터리 용량 표기법은 아닙니다. 보조배터리의 용량은 전압을 고려한 전력량인 Wh(watt hour)를 함께 표기하는 게 좋습니다. ​ " mAh란? " mAh는 1A(Amper)의 전류가 1시간 동안 흐를 경우 전기량을 뜻합니다. Ah(Amper hour)의 1,.. 2024. 3. 15.
리튬 이온 배터리와 리튬 폴리머 배터리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리튬 이온 배터리와 리튬 폴리머는 어떻게 다른가요? ​ ​ 리튬 이온 배터리(Lithium-ion battery)와 리튬 폴리머 배터리(Lithium polymer battery)는 모두 리튬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축전지입니다. ​ 사실, 리튬 이온 배터리가 좀 더 상위 개념으로 리튬 폴리머 배터리가를 포함하는 의미인데요. 다양한 매체와 제품 설명에 두가지로 나누어 기재하고 있으므로 이글에서도 이해를 돕기 위해 리튬 이온 배터리와 리튬 폴리머 배터리로 구분하여 표기하도록 하겠습니다. ​ ​ 리튬 이온 배터리(Lithium-ion battery) ​ 리튬 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자가방전이 일어나는 정도가 작아 일상 생활에 많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ex... 2024. 3. 13.
[아트뮤 Tip]리튬이온전지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Li-Ion Battery 리튬 이온 전지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리튬이온전지란? 현재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전지로, 주로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기기 및 전기 자동차에 많이 쓰이는 전지입니다. 핵심소재인 양극제 리튬이온배터리 구조 중 양극제는 제조원가의 35%를 차지하는 핵심소재로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전압을 결정하며, 배터리 수명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양극제를 구성하는 원소 조합은 MCM / NCA / LFP 음극제에 따른 분류 양극제를 보조하는 음극제또한 종류가 크게 4가지로 나뉘는데 음극제에 따라서도 배터리의 수명과 용량이 결정될 수 있어 양극제 만큼은 아니지만 배터리의 쥬요 요소 중 하나입니다. 탄소계 음극재 리튬 메탈 음극 실리콘 음극재 리튬티타늄산화물 사이즈에 따른 분류 AA전지부터 전기자동차.. 2023. 7. 25.